\\wsl$\
로 접속아래와 같이 설치된 WSL 2 환경 디렉토리가 표시됨
각자 환경과 입맛에 맞게 프로젝트를 저장할 디렉토리 생성
mkdir -p ~/programming/projects/git/intellij
예시) ~/programming/projects/git/{IDE 이름}/
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
WSL 우분투 환경 쉘에서 위 명령을 입력했을 때 결과가 비어있거나 input
이 아닌 true
로 나온다면 아래 명령 수행 필요
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input
윈도우 환경에서는 true
로 설정되어 있어야 함
위 설정을 확인하지 않고 리눅스 환경에서 EOL
값이 CRLF
로 설정될 경우 스크립트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등 문제가 발생함
따라서 반드시 리눅스 환경에서의 EOL 값을 LF
로 설정 해야 함
(위 설정을 진행하지 않고 autocrlf
설정이 true
로 되어있으면 모든 파일의 EOL
값이 CRLF
로 설정되므로 프로젝트를 다시 클론 받아야 함)
IDE에 Git 복제 수행
WSL2 내 우분투 환경에 /mnt/{윈도우상 파티션}/
형태로 실시간으로 호스트 OS와 파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나, 해당 방식으로 사용 시 극심한 성능 저하가 발생하므로 해당 방식으로 구성 금지
윈도우 파티션을 WSL2 내 우분투 환경에 마운트하여 사용 시 WSL2 우분투 환경 내에 프로젝트 파일이 위치 했을 때에 비해 성능 차이가 100배 정도 발생하게 됨
ex) 도커 컨테이너 내부에 /mnt/c/~~
형태로 윈도우 파티션을 볼륨 바인딩하여 사용 시 컨테이너의 성능이 대폭 하락됨
따라서 도커 컨테이너에 볼륨 바인딩이 필요할 경우, WSL 환경 내(윈도우에서 \\wsl$\
로 시작하는 경로)에 파일을 저장하여 실행하도록 구성하고, 필요시 wsl 환경에 저장된 파일을 가져오는 방식으로 진행해야 함
(주의) IDE 내 프로젝트 경로에 여기서 연결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경유하면 안 됨
JetBrains 기반 IDE에서 \\wsl$\
로 시작하는 디렉토리가 아닌, 네트워크 드라이브 하위로 로드하면 WSL에서 실행하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아 프로젝트가 비정상적으로 실행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