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: /etc/hosts
윈도우: C:\Windows\System32\drivers\etc\hosts
(관리자 권한으로 수정 필요)
hosts 파일 하단에 개발을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테스트 도메인 아래 내용 추가
127.0.0.1 bellsafehouse.test
도구 - 배포
자동 업로드 활성화
로컬 또는 마운트된 폴더
추가
도구 - 배포 - 옵션...
로컬 파일이 삭제되었을 시 원격 파일 삭제
체크 (비활성화 시 로컬 파일 삭제 후 WSL 환경에서 직접 제거해야 함)
gradle ktlintApplyToIdea
실행
./scripts/init-local-environment.sh
최초 1회 실행을 완료하고나면 로컬 환경을 제거하거나 추후 로컬 개발환경 배포 구조에 변경이 있지 않는 한 실행할 필요가 없음
./scripts/deploy-db-local.sh
마찬가지로 최초 1회 실행 완료 시 로컬 환경을 제거하거나 추후 DB 관련 변경이 있지 않는 한 실행할 필요가 없음
TYPE: MySQL 8.0.30
IP: 127.0.0.1
PORT: 30306
ACCOUNT (관리자): root
/root
ACCOUNT (앱): bellsafehouse
/bellsafehouse
SCHEMA: bellsafehouse
./scripts/pause-local-environment.sh
./scripts/resume-local.environment.sh
로컬 환경 제거는 실수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 환경 제거와 데이터 영구 삭제의 스크립트를 분리하였음
따라서 아에 프로젝트를 제거하려면 두개의 스크립트를 실행해야 함
./scripts/remove-local-environment.sh
./scripts/init-local-environment.sh
스크립트 부터 재실행 필요./scripts/remove-local-data.sh
.gradle-cache
디렉토리 우클릭 후 디렉터리를 다음으로 표시
-> 제외됨
설정./scripts/deploy-api-local.sh
./scripts/deploy-view-latest.sh
./scripts/deploy-view-local.sh
)를 실행하면 됨해당 k8s 리소스가 재시작되면 자동으로 최신 이미지를 pull 받아 실행함
즉시 업데이트가 필요한 상황일 경우 ./scripts/redeploy-view-latest.sh
스크립트 실행
kubectl -n bell-safe-house-local get ingress
실행 결과 아래와 같이 CLASS 가 <NONE>
이 아닌, nginx
로 할당된 것으로 나오면 정상 상태
C:\Users\bell0>kubectl get -n bell-safe-house-local ingress
NAME CLASS HOSTS ADDRESS PORTS AGE
bell-safe-house-local nginx bellsafehouse.test 80 3s
만약 hosts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ingress 리소스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어도 등록된 host 로 접속할 수 없음
kubectl -n bell-safe-house-local get deploy -lapp=bell-safe-house-api-local -lenv=local
위 명령어 수행 후 READY 항목이 1/1 로 떠있으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
./scripts/deploy-view-local.sh
./scripts/deploy-api-latest.sh
./scripts/deploy-api-local.sh
)를 실행하면 됨해당 k8s 리소스가 재시작되면 자동으로 최신 이미지를 pull 받아 실행함
즉시 업데이트가 필요한 상황일 경우 ./scripts/redeploy-api-latest.sh
스크립트 실행